
지방쓰는 방법 > 구역별 간단 설명과일·후식류(북쪽 윗줄)사과, 배, 감, 밤, 대추, 곶감 등시절과일, 견과류 등을 올리기도 함포(左): 말린 생선(북어포), 육포 등적(中央): 꼬치전(산적), 떡 산적 등전(右): 동그랑땡, 생선전, 호박전 등 부침류탕(湯): 어탕(생선탕), 육탕(고기탕), 소탕(소고기탕), 잡탕 등 3~5가지나물·반찬: 시금치나물, 고사리나물, 도라지무침 등 3색 나물탕: (동일하게 다른 종류의 탕)생선(魚) [어동, 머리는 동쪽으로]: 도미나 조기를 많이 사용고기(肉) [육서]: 쇠고기, 돼지고기 수육 또는 구이 등밥: 공기에 담아 놓음국: 미역국, 무국, 곰국 등 집안마다 다름술잔: 조상님께 올릴 술잔(잔대)와 술병(과배주) 유의사항 가정마다 차이지역, 종교, 가풍에 따라 전통..

가장 간단한 기본 구조 윗줄: 돌아가신 분의 호칭(예: 아버지, 어머니, 할아버지 등)중간줄: 고인의 성씨나 이름, 혹은 공(公), 부인(夫人) 같은 간단한 호칭아랫줄: ‘신위(神位)’라고 적어 “이분을 모시는 자리”임을 나타냄 한문 검색기 > 예를 들어, 아버지를 모실 경우 한자를 사용하면 顯考 金公 ○○ 神位“顯考”(현고) = 돌아가신 아버지 뜻“金公 ○○” = 김씨 + 아버지의 이름(또는 공, 학생, 대인 등)“神位” = “이분의 자리”라는 의미 어머니라면코드 복사顯妣 朴氏 ○○夫人 神位“顯妣”(현비) = 돌아가신 어머니“朴氏 ○○夫人” = 박씨 + 어머니 이름 혹은 부인(夫人)“神位” 집집마다 다른 점 호칭: “현고” “현비” 말고도 **‘아버님’ ‘어머님’**처럼 한글 표기를 쓰기도 합니다.중간..